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29)
삶을 즐겨라 나의 정상은 어디쯤인가, 언제쯤 오려나 고민하지 말아라. 내가 밟고 있는 지금 이 현재가 나의 정상이다. 지금을 맘껏 누려라. 세상 어느 것도 나에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내가 나의 현재를 오롯이 독점해라. 행복은 미래에 있지 않다. '미래에 행복한 내가 있겠지'라며 현재의 나를 죽이고 희생시켜봤자 행복한 미래는 오지 않는다. 지금 나를 행복하지 않게 만드는 게 있다면 도망쳐라. 우리는 불행하고 근심하려 태어난 것이 아니라 삶의 다양한 가능성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깨달음을 얻으려고 태어난 것이다. 우리는 우주에서 지구로 여행온 여행자라고 생각해봐라. 여행자가 여행지에서 매사 걱정, 근심하는가? 그냥 부딪히는 거다. 모르면 물어보고, 음식이 입맛에 맞든 아니든 그저 즐기다가 돌아가는 거다. 별 게 있는가..
"남자는 커도 애야"라는 말의 효과 남자들이 사회적으로 더 유리한 위치에 있으면서도 자신들을 '아이'로 포장해 여성들에게 '돌봄 서비스'와 '모성애 서비스'를 받겠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남자들은 회사에서 돌아오면 자신은 아직 애라고 하면서 육아, 가사노동 등을 전부 여성에게 맡겨버린다. 게다가 이런 남성의 유아화를 미디어나 SNS 등에서는 희화화 시키고 훈훈함으로 포장한다. 그리고 그 이유를 여성의 모성애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이제 알겠는가? '남자는 커도 애'라는 말이 '여성 노예화'를 어떻게 숨기고 정당화하는지 말이다. 이것이 또다른 예로는 남자들이 여자의 말을 취급하는 태도에 있다. 평소에 남자들은 여자 말 따위 그냥 시끄럽고 피해망상증 환자의 소리로 치부한다. 여성들은 제대로된 사고가 불가능한 멍청이로 내몰린다. 남자들이 페미니..
너의 성과와 성공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지 마라 인정 중독(Approval addiction)이다. 자신을 자랑하고 싶어서 SNS를 한다면 다 접어라. SNS에서 자신이 무슨 일을 하는지 티 내지 마라. 개돼지들은 네 성공을 알 자격이 없다. 마인드를 바꿔라. 개돼지들이 네 자랑을 들어주는 게 아니다. 네가 그들에게 네 근황을 알려줄 권한이 있는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 네 성공을 자랑하는 순간 뇌에서는 도파민이 나오는데 네 기분이 좋다는 것 빼고는 남는 게 없다. 주위 개돼지들은 네가 얼마나 잘났는지 알 필요가 없으며 알 자격도 없다. 내 자랑을 할 때는 듣는 사람이 기분 나쁘지 않게 해라. 자신의 성과를 떠벌리지 마라. 그들에게 인정받아 뭐가 좋은가? 개돼지와의 인간관계에서 불만이 있다면 넌 아직도 그들을 개돼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능적으로..
성공한 여자는 사랑받지 못한다 여성들은 권력을 포기한다. 그럼으로써 현존하는 계급을 더욱 확고하게 만든다. 대부분의 여성들은 권력을 탐하지 않는다. 자기 생각으로 다른 사람을 지배하거나 억압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것이다. 자신의 권력 자체에도 두려움을 갖는다. 이러한 심리 속에는 권력을 가진 자는 결국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한다는 두려움이 내포되어 있다. 이 같은 여성의 두려움은 여러 가지 형태의 '의식의 덫'에서 생겨 나온 것으로 이러한 의식의 덫은 여성의 행동을 조종해 권력에 대한 접근을 악의적으로 가로막았다. 그 예로 다음의 몇 가지를 들어보자. 권력을 가진 자는 고독해진다! 남들의 말만 따르면 아무 문제없다! 권력을 가진 자는 다른 사람을 착취한다! 여자는 책임 있는 일을 맡을 수 없다! 어떤 관계를 이용해서 윗자리에 오르는 ..
문제가 되는 인간관계 원인과 해결 / 외로움에 대하여 외로움이란 무엇이고 왜 그러한 감정이 드는 것일까? 외로움은 자기 확신이 없을 때 오는 거지 절대 친구가 없어서 오는 게 아니다. 문제가 되는 관계 나를 보고 먼저 다가오는 사람. 그의 눈빛에서 관심, 부러움, 갈망, 집착, 선망, 질투, 애착, 의존 등이 느껴지면 반드시 피해라. 이런 것들이 복합적으로 섞여서 나에게 다가오는 사람은 경계 대상 1호이다. 그런 사람은 적당히 거리를 두고 사무적으로만 관계를 맺고 형식적인 친절 이상의 관심을 주지 않는다. 관종에 먹이 금지 실천해라. 저들의 마음은 뭐지? 정말 날 좋아하는 건가? 왜 저 많고 많은 끈끈한 관계들이 결국 파국으로 치닫을까? 관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부류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부모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자랐다. 자신의 감정이 그대로 수용받..
착함은 가라. 착한아이 증후군에서 벗어나기 세상이 알려주지 않는 진실 여태 살면서 느낀 거다. 나는 최근까지도 뭐가 맞는지 혼란을 겪었었다. 자기 계발서며 각종 강연, 책 여러 가지 이것저것 보면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항상 고민이었다. 최근에는 미니멀리즘으로 살겠다며 소비를 줄이고 만족하면서 사는 게 좋은 거라며 스스로를 위안하기도 했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고 깨달은 바를 써본다. 착한 건 절대 미덕이 아니다. 착한 건 자기 자신에게 죄를 짓는 것이다. 착한 사람은 매력도 재미도 없다. 착한 것 = 병신같은 것 착하네. 참하네. = 만만하네. 인생은 이기적으로 살아야 한다. 욕먹으면서 사는 삶이 잘 사는 삶이다. 다른 사람을 불편하게 하는 게 잘하는 일이다. 부모님은 이런 걸 전혀 가르쳐주지 않는다. 내가 추구하는 것들이 옳다는 것을 말이..
결혼을 하면 안 되는 경제적인 이유 한국에서는 월급의 절반을 적금에 붓는 경우가 허다하다. 뭐 꼭 나쁘다고만은 하지 않겠다. 하지만 2,30대에 자기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일 아니겠는가? 죽을 때까지 일만 하고 그만두지 않을 만큼의 수입만 벌고 살 것인가? 그래서 4,50대 그리고 60대에 몸값을 올리기 위해 지금 당장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자취하는데 월급 300만원 벌면서 150만 원을 결혼 자금이랍시고 저축하는 건 자신에게 도움이 전혀 안 된다. 차라리 100만 원만 저축하더라도 나머지 50만 원을 자기 계발에 더 쏟아야 한다. 결혼까지 앞으로 n 년 남아서 그때까지 무작정 적금을 붓고 몇천만 원을 모은다는 게 인생이라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과연 의미가 있는 일이겠는가? 그러고 자기 자식 낳아서..
여성을 위한 넷플릭스 추천 12선 목차 거꾸로 가는 남자 I'm not an easy man 쉬 울프: 잉글랜드 초대 여왕들 She-Wolves: England's Early Queens 빨간머리 앤 ANNE with an "E" 헬'S 키친 Hell's kitchen 퀸스 갬빗 Queen's gambit 웬트워스 Wentworth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Orange is the new black 범죄의 재구성 How to get away with murder 리타 RITA 에놀라 홈즈 Enola Holmes 올드 가드 The old guard 콜레트럴 이펙트 Colletral effect 거꾸로 가는 남자 I'm not an easy man 장르 코미디 줄거리 현 세상을 미러링하여 남녀가 바뀐 세상을 유쾌하게 그려낸 프랑스 영화. 우..

반응형